공개키는 2개의 키가 한 쌍 이다.
A가 한 쌍의 키를 만들 때 공개 키과 개인 키를 같이 만드는 것이다.
A는 모두에게 자신의 공개 키를 뿌린다.
어떤 사람에게 자신의 공개 키가 들어가든지 간에 상관 없다.
사용자들은 제공된 공개 키를 이용해 자신의 데이터를 암호화 한다.
이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서는 A의 개인 키가 필요하다.
암호화에는 A의 공개키를 사용자가 이용하지만,
복호화에는 A의 개인키를 A가 이용하는 것이다.
이 양 키에 사용되는 알고리즘은 … 한 키를 파헤쳤을 때 다른 한 키를 알아낼 수 있는 형식이 아니기에, 한 쪽 키를 안다고 해서 다른 키를 판별 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공개 키가 모두에게 넘나들어도 상관 없는 것이다.
이런 방식이면 사람들이 굳이 1:1로 비밀 키를 공유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A가 기업이든 사용자든 간에 하나의 키 한 쌍을 보유한다면 많은 사람들과 공유 할 수 있는
1:n방식이 가능해져 키 관리 면이 유용하게 되었다.
'Self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l3스위치 라우터 차이점 (0) | 2015.11.12 |
---|---|
모드별 인터페이스 (0) | 2015.11.12 |
e (0) | 2015.11.11 |
SSL VPN을 IPSec VPN과 비교해보면.. (0) | 2015.11.10 |
우리나라는 xDSL기반의 인터넷. (0) | 2015.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