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치는 맥을 보고 포워딩하지만, 라우터는 ip layer를 보고 포워딩한다.
즉 라우터는 라우팅 테이블을 보고 경로를 결정 할 때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한다.
작중에 와서 하드웨어 기술이 발전하자 하드웨어적으로 ip를 분석해서 경로 설정과 포워딩할 수 있는 기술이 나오게 되었는데 이 기술이 접목된 스위치가 l3스위치이다.
그러므로 L3스위치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보통 라우터에서 진행하는 라우팅이다.
L3스위치와 라우터의 경계가 점차 사라지고 있지만, 그래도 l3스위치에는 라우터와 다른 기능이 있다.
그것은 l3스위치도 본래 스위치의 계층인 l2스위칭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L3스위치의 스위칭 알고리즘은 내부에선 l2 스위칭을 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라우터 대신 l3를 놓는다고 가정할 때, (목적지가 내부주소를 갖고 있는 프레임들은 모두 l2로 스위칭 하지만) lan외부로 빠져나갈 경우에는 3계층 주소를 사용한다.
'Self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PF기본개념 (0) | 2015.11.25 |
---|---|
l2스위치 그리고 DSU,CSU (0) | 2015.11.13 |
모드별 인터페이스 (0) | 2015.11.12 |
공개키 암호화 동작 과정 (0) | 2015.11.11 |
e (0) | 2015.11.11 |